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TIP

[조경&정원] 알면 부자 되는 야생화 정원

by WITHHEIM 2021. 12. 15.

출처: 전원주택라이프

원문: http://naver.me/IDBZZ9cP


초록의 잎들이 더욱 싱그러운 빛을 발하는 계절이다. 산과 들에서 산들산들 이는 바람을 온몸으로 맞으며, 부끄러운 듯 발그스레한 얼굴빛을 한 야생화를 만나는 것은 어떨까. '자연을 알고 느끼면서 살아가는 삶이야말로 부자'라는 푸르네의 이성현 대표. 그가 말하는 야생화의매력은 무엇일까. 자연의 숨겸을 머금은 야생 정원을 꾸며보자.

정원의 화려한 꽃들이,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하는 계절이다. 정원 한쪽에는 소박한 웃음으로 우리의 눈과 마음을 이끄는 꽃이 있다. 바로 야생화들이다.

화려하지 않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노라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그 모습에 그만 마음을 빼앗긴 경험이 있을 것이다.

추운 겨울을 어디에서 지내다 왔는지, 이른 봄이면 저마다 고개를 들고 우리를 정원으로 이끌어 낸다. 혹독한 겨울을 이겨 낸 만큼 굳은 땅을 헤치고 올라오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마음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에너지에 감싸이곤 한다.

종종 이런 자연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삶을 함께 생각하는 사람들을 접하곤 한다. '나의 삶, 나의 원예'라는 말을 적어가며, 자연 앞에서 자신의 존재를 더욱 귀하게 여기는 마음...... '바로 이것이 자연과 야생화를 느끼면서 갖는 부자구나'라고 생각한다.

어찌 부와 명예만 지녔다고 해서, 진정한 부를 가졌다고 하겠는가? 자연을 알고 느끼면서, 그 안에서 자연과 함게 살아가는 이웃을 발견하는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부가 아닐까. 그러려면 자연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시간과 공간과 마음이 필요하다. 야생화 정원은 크기와 상관없이 우리를 자연으로 초대한다. 비록 작은 공간의 야생화와 자연일지라도, 그것들로부터 초대받기를 바란다.

화려한 야생화의 모습을 보는 것도 좋지만, 직저 꽃들의 크기에 알맞은 장소를 골라주는 것도 큰 즐거움이다. 초롱꽃과 사철패랭이를 키가 작으 순서대로 심어 안정감을 주었다.

작은 꽃이 주는 큰 행복

본지 기사의 한 대목을 읽으면서, 나는 큰 기쁨을 얻었다. 자연을 대하는 우리에게 정말 큰 열매를 안겨준 말, 바로 '꿈', '행복', '건강'이란 단어를 봤기 때문이다.

자연 안에서 그리고 작지만 소박하게 다가오는 야생화들을 보고 느끼면서, 커다란 행복과 만나기를 기대한다. 꿈과 행복과 건강을 만나는 일은 누구에게나 주어진 자연의 선물이다. 하지만 각자 그 선물을 느끼는 방법이 다양하기에, 그 크기 또한 다르다. 우리는 느낀 만큼 자연 앞에서 또다시 부자가 될 것이다.

꿈을 안고 싹을 틔우는 야생화는 곧 만발한 꽃으로, 우리를 행복의 공간으로 초대한다. 나아가 우리 가족과 사회를 건강하게 이끈다. 우리는 이러한 자연을 알고 느끼는 만큼, 꿈과 행복과 건강을 일구며 살아가는 것이다. 이제 단순한 멋과 색깔과 형태만으로 정원을 바라보기보다는, 더 큰 자연의 세상을 발견하는 '정원 문화'가 쓰이기를 기대한다.

시클라멘과 파라솔, 나리 등의 꽃잎들이 초록색 잔디와 어울린 정원은 보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한다.

자연을 나누는 부자

우리나라 산과 들판에는 많은 종류의 야생화가 자라고, 또한 그들만의 멋을 한껏 보이며 번식해 나가고 있다. 자기들의 종자들의 종자를 번식시키고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삶...... 우리는 자연을 함께 누리는 것에 감사하고, 자신만의 뜰을 넘어 이웃과 함께 나누는 부자가 되었으면 한다.

야생화들은 저마다 모양과 색깔이 다양하고, 향기 또한 넒은 뜰에 앉아 있는 우리를 유혹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 유혹은 한 계절에만 끝나지 않고 봄부터 가을까지 이어지기에, 우리는 더 풍성한 부자가 된다. 또한 한겨울 추위를 이겨내고 봄이 되면, 지난해보다 더 많은 식구들이 우리 마당을 차지하고 올라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야생화는 종자로 번식하거나 가을철에 포기를 나누는 것이 좋다.

이른 봄에 야생화 싹이 나오는 것을 보며, 이웃에게 한 포기씩 나누어주자. 식물을 통해 이웃과 더불어 건강한 부자가 되는 방법이다. 아마 내년에는 자신의 마당에 있던 야생화를 옆집 마당에서도 환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이른 봄 이웃에게 나누는 일도 크나큰 즐거움이다.

흰색은 여름철의 시원한 느낌을 주는 색이다. 짙은 초록색과 화려한 꽃잎의 야생화 정원에 흰색 테이블과 의자, 아치 장식은 한 여름의 시원함을 더 할 수 있는 소재이다.

야생화의 특성을 잘 알아야

야생화를 정원에 심을 때, 다음 몇 가지에 주의하면 더 멋진 야생화 정원을 만들 수 있다.

야생화가 아무리 예쁘더라도, 정원 여기저기에 심는 것은 피하자. 여러 종류의 야생화가 무질서하게 핀 것보다. 질서 있는 모습이 야생화 정원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한 주부는 조금씩 사들인 야생화를 정원 여기저기에 심었다가, 결국 정원을 크게 손본 적이 있다. 정원을 다시 만들려면 인건비도 그렇지만, 애써 만든 정원이 흐트러지므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고 종류별로 모아 심기만 한다고 해서, 만족스러운 야생화 정원이 만들어지는 것은아니다. 다 자란 뒤의 모습과 크기 등을 생각하며 계획을 주의 깊게 세운 다음에 심어야 한다. 앞에 키 큰 금낭화가 피고 그 뒤에서 키 작은 꽃이 핀다면, 이 또한 각각의 멋을 살리지 못한 경우다. 그러므로 야생화의 크기를 꼭 생각하면서 식재해야 한다. 이러한 실수는 낮선 야생화가 정원으로 들어올 때 일어나곤 한다. 때문에 사전에 야생화의 특성을 잘 알아야 한다.

계절에 맞게 정원에 야생화의 색깔이 골고루 보이도록 식재하는 것이 좋다. 한쪽으로 치우치는 식재보다는, 진한 꽃은 멀리 그리고 흰색이나 흐린 색은 가까이에 심는 것이 좋은 식재 방법이다. 또한 일년생 초화를 다루듯이 야생화를 키워서는 안 된다. 얏애동물이 사람의 손에 익숙해지면 야생능력을 잃듯이, 지나친 관심은 자칫 키만 웃자라게 하거나, 잎만 무성하게 한다.

야생화 정원은 멀리서 바라보는 것만으로는 자연 안에 들어가기 어렵다. 더운 날시짐나, 모자를 쓰고 연장을 들고 무릎을 꿇고 눈과 코와 귀를 식물 가까이 대보자. 어느덧 그동안 보지 못했던 자연의 야생화 속으로 깊이 들어가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함께 참여하고, 느끼며, 보아야만 자신만의 얏애화 정원이 된다. 그리고 그것이 자신과 사회를 부자가 되게 만드는 정원이다. 알면 부자가 되는 야생화 정원, 이제 자신만의 방법을 가지고 체험해 보자.

 

분홍색의 병꽃나무 꽃잎과 붓꽃의 노란색 꽃.

●●●●●●●●●●●

야생화 정원을 만들기에 좋은 식물을 몇가지 소개한다. 전체 야생화 중 극히 일부분이지만, 나만의 야생화 정원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무엇보다 한 포기의 야생화라도, 정원 안으로 들이는 시작이 중요하다.

관중 고사리과 여러해살이풀이다. 물가 주변에 심으면 잘 자라고, 어떤 조각물과도 잘 어울려 많이 이용하고 있다. 연한 새순이 힘차게 올라오는 모습과 다 자란 모습이 보기 좋다.

맥문동 7~8월에 꽃을 피운다. 정원에서 돌이나 큰 나무 밑에 심어도 잘 어울린다. 겨울철에는 녹색 잎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기에 겨울철 녹색을 보는 데 좋다. 봄에는 묵은 잎을 잘라 주면 새순이 나오므로, 한 번 더 예쁜 모습을 볼 수 있다. 뿌리에 달리는 괴경은 한약재로 쓰인다.

벌개미취 국화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찬 서리 내리는 계절이면 정원에서 꽃을 보기 어려워지는데, 이때 벌개미취가 한 번 더 정원의 멋을 더해 준다.

사철패랭이 사철패랭이 겨울철에도 어느 정도 녹색 잎을 유지한다. 또한 번식도 잘 되어 몇 포기만 심어도 어느새 주변을 가득 메운다.

둥글레 꽃도 예쁘지만 잎도 관상 가치가 있다. 그래서 생활공간 가까이에 심으면 부드러운 잎 모양과 색깔이 차분하게 만들어 준다.

으아리 덩굴이 3~5미터 정도 자라므로, 어떤 구조물이 듣 감고 올라가기 좋은 것을 함께 설치하면 좋다.

반응형

댓글